|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5주기를 맞아 북한 당국이 판문점을 통해 조화 전달 의사를 밝혀 왔다. 남한 통일부는 김대중 평화센터 측의 방북 요청이 있으면 이를 긍정적으로 승인 검토하겠다는 입장인 듯하다.
북한 당국이 경색 국면에 놓여 있는 남북 관계 숨통을 열어 보겠다는 유연한 뜻으로 풀이된다. DJ 평생의 소망이었고 행동 지침이 되었던 평화 통일 문제가, 그의 서거 이후에도 빛을 발하고 있는 셈이다.
남한 내부에서 북한의 인권 문제에 대해 날을 세우는 경향이 일부 있다. 물론 열악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아울러 개선되어져야 할 점이라는 우리 모두의 공통된 인식이 널리 공유되어 있기도 하다.
그럼에도 우리 또한 정치적 박해와 탄압은 없는지 자문할 수 있어야 한다. 경제적 착취 구조의 극한성, 집회 및 결사의 자유에 대한 타는 갈증 역시 현존하고 있다. 세간에서 유행하고 있는 '너나 잘해'가 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협상 테이블의 직접 당사가가 북한 지배 체제임을 우리가 간과할 수 없는 대목이다. 대화를 통한 관계 개선의 큰 틀을 해치게 되면 민족 문제가 한 치도 진척될 수 없게 된다는 점을 염두에 둘 수 있어야 한다.
문제는 또 있다. 외세와 합동한 엄청난 규모의 전쟁 연습은 실로 불민한 일이 되고 있다. 막강 화력을 동원한 대대적인 침략 훈련을 하면서 화해와 평화를 말하는 것은 기만이다. 전면 없애거나 또는 대폭 축소해야 한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대한 남한 사회의 과민 반응도 그렇다. 북한이 전면전을 원한다면, 굳이 핵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남한 전역에 산재해 있는 원자력 발전소를 향해 대포동 미사일만 쏟아 부어도 남한 전역이 초토화된다.
통일 한국 이후, 한반도의 핵무장은 불가피하다. 주변 강국으로부터 우리를 지킬 수 있는 마지막 수단이기에 그렇다. 평화에 대한 자구책 없이는 결코 평화가 주어지지 않는다. 숱하게 침탈 당한 역사가 우리에게 주는 명징한 교훈이다.
거대 열강의 틈바구니에서 더는 당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통일 이후, 핵개발은 요원한 일이 되고 만다. 특히 중국, 일본의 극렬한 반대에 봉착할 개연성이 자명하다. 평화는 결코 낭만적 사안이 아닌, 냉엄하고 혹독한 현실임을 깨달을 수 있어야 한다.
< 정성태 : 시인 / 칼럼니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