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동북공정의 이론적 토대인 신라식민사관 1. 동북공정의 원인인 신라사관
우리가 버린 고구려역사를 중국이 주워들고 자기들 역사에 편입시키기 위한 중국 정부와 학계가 노력이 집요하고도 적극적이다. 이 시대를 살고 있는 한국사람이라면 우리의 선조들이 세운 하나의 왕조에 해당하는 고구려 왕조는 7세기 말 신라와 당나라의 협공으로 멸망하고 다시 그 땅 위에 대조영이라는 장군이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규합하여 발해라는 나라를 세웠다는 역사적인 사실을 모두 잘 알고 있다.
그런데 우리 국민들은 역사에 대해 너무 무지하다. 왜냐하면 지금도 뉴라이트를 표방하면서 실제적으로 거의 매국노 집단에 해당하는 자들이 스스로 우리의 역사를 폄하하고 왜곡하는데 정신이 없는 자들의 발호에 아무런 문제의식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 역사에는 지금의 중국의 동북지방이라고 부르는 요녕성, 길림성, 흑룡강성의 대부분을 영토로 했던 고구려, 한반도의 서남부 지역과 중국의 동해안 지역을 영역으로 하고 일본에 식민지를 경영하고 있던 해양국가 백제, 그리고 한반도 남단의 동쪽 지역을 차지하고 있던 신라가 공존했던 시대를 우리는 삼국시대라고 부른다.
700여 년을 넘게 공존했던 삼국시대는 신라가 당나라라는 외세를 불러들여 백제와 고구려를 협공함으로 해서 백제의 한반도 땅은 신라의 내부식민지화 되고 광대한 중국의 동해안 지역에 있었던 백제의 영토는 중국의 영토에 속하게 되고 만주의 고구려 땅에는 발해라는 고구려의 후계국가가 세워져 250여 년 존속했다가 만주지방에서 흥기한 거란에게 멸망당했다는 기록이 정사다. 그런데 외세에 의존하여 동족국가를 멸했던 신라로써는 자신들의 매족행위를 정당화시킬 필요가 있었다.
즉 그들은 신라사관이라고 포장한 사대사관이라는 독특한 역사관을 만들어냈다. 첫째가 작은 나라는 작은 나라답게 큰 나라를 받들어야 하고 그리고 한반도 남부의 조그만 부분만을 차지한 후에 자신들의 기득권을 하나도 놓지 않고 골품제라는 신분제를 유지하며 백제 유민을 노예화시켜 놓고 통일신라라는 용어로 미화했다. 한반도 내의 백제 땅을 점령한 행위를 통일이라고 한다면 당나라에 넘어갔다가 다시 그 땅위에 세워진 발해라는 나라는 전혀 우리 한민족과 상관없는 국가가 됨에도 그들은 전혀 개의하지 않는다. 이런 것을 두고 이중성이라고 한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해버렸는데 만주의 고구려 땅과 그 땅 위에 세워진 발해의 존재는 우리 역사에 어떤 위치를 차지하게 될지는 자명하지 않는가? 즉 중국의 동북공정은 우리의 신라사관과 식민사관을 신봉하는 주류역사학자가 버린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를 중국의 역사학자들이 주워들고 그렇담 우리가 가져야 되겠다고 말하는 경우라고 하겠다. 그리고 지금은 더욱 어려운 것이 민족문제보다도 이념전쟁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남북한의 정치권력들도 중국이 동북공정을 추진하고 있는 명분이 되고 있다.
2. 중국과 한국의 최초 국경조약 및 조약 이후에 불거진 한중 두 나라 후계국가 사이의 영토분쟁 신라의 요청에 의해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당나라는 백제 및 고구려는 물론 신라까지 자신들의 지배하에 두기 위해 세 나라에 각각 도독부를 두고 총독을 파견했다. 이에 신라와 당나라 사이에 싸움이 벌어졌다. 7년간의 전쟁 끝에 당시 티베트에서 흥기한 토번과의 분쟁으로 당나라는 한반도의 당군을 철수시켜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이에 신라와 당나라는 휴전하기로 합의하고 한국과 중국의 역사상 최초로 국경조약을 체결했다. 신라는 대동강 이남으로 영토를 제한하며 대신 당나라는 신라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는다가 그 중요 내용이었다. 대동강 이남의 땅으로 만족하겠다는 보증으로 신라는 멀쩡했던 고구려의 도읍 평양성을 철저히 파괴하여 흔적도 없이 만들어버리기도 했다.
그리고 200여 년 후에 한반도에는 신라가 망하고 새로 선 고려왕조는 고구려의 후계국가를 천명하고 국호도 고려라고 했다. 그 사이 중국 대륙에서는 당나라가 망하고 송나라가 서고 중국의 북방에서 흥기한 거란족의 요나라는 발해를 멸하여 병합하고 중국의 송나라와 남북으로 대치하는 정세가 조성되었다. 그 사이 고려는 드디어 대동강을 넘어 북진정책을 추진하여 고구려의 옛 영토를 수복하자 북방의 강국으로 등장한 거란이 고려에 도전해왔다. 즉 발해를 병합한 거란과 고려 사이에 고구려의 후계국가라는 지위를 놓고 대립한 것이다.
당시 거란의 상황은 당나라가 망하고 오대십국의 혼란기를 수습하여 다시 중국에 통일왕조를 세운 송나라를 주적으로 삼고 있었기 때문에 거란의 배후에 해당하는 고려와의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따라서 고려에게 고구려의 후계국가라는 지위를 인정해주고 후방의 안전을 꾀하려고 했던 거란은 대동강 이북에서 압록강에 이르는 당시에는 여진족의 활동무대였던 땅에 대한 영유권을 고려에 양보했다. 그래서 고려의 영토는 신라와 당나라가 대동강과 동해의 원산을 잇는 선을 경계로 맺은 국경조약 이후부터 원나라에 항복하기 직전까지 신의주와 함흥을 잇는 선으로 확대되었다. 한편 중국 대륙에서는 만주지역에서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에 의해 요나라가 망하고 다시 몽고초원에서 일어난 몽고족이 송나라의 지원 하에 금나라를 멸하더니 마침내 한족 왕조인 송나라마저 점령하여 원제국이 탄생했다.
3. 매국노들에 의한 대동강 이북 지역에서의 쌍성총관부와 동녕부의 설치
1) 쌍성총관부의 설치
1258년(고종 45년) 원나라의 장수 산길(散吉)과 보지(普只)가 동여진(東女眞)을 경유하여 고려의 천리장성 이남을 넘어 화주에 이르자 당시 동북면병마사 신집평(愼執平)은 주민들과 병사들을 이끌고 저도(楮島)에 들어가 지키다가 죽도(竹島)로 이동하였다. 그러나 조휘(趙暉)와 탁청(卓靑) 등은 등주 부사 박인기(朴仁起), 화주 부사 김선보(金宣甫) 및 동북면병마사 신집평을 죽이고, 철령 이북의 땅은 원래 중국의 영토로써 고려가 나당간에 체결된 국경조약을 위반하여 점령했다고 하면서 그 땅을 들어 원나라에 바치고 투항했다. 중앙 정부와는 상관없이 진행된 사건으로, 원나라는 이 지역에 쌍성총관부를 설치하여 총관에 조휘를 임명하여 원나라의 직할령으로 다스리게 했다. 쌍성총관부의 총관은 한양 조씨 집안이 세습하여 조휘의 아들 조양기, 손자 조림, 종증손 조소생이 세습하였고, 그 밑의 천호도 탁청의 후손이 세습하였다.
2) 동녕총관부설치
1269년(원종 10년) 서북면 병마사의 기관(記官)인 최탄(崔坦) 등이 난을 일으켜 서경을 비롯한 대동강 이북지역의 고려 영토인 북계(北界)의 54성과 자비령(慈悲嶺) 이북 서해도(西海道)의 6성을 들어 원나라에 투항하였다. 최탄 역시 대동강 이북지역의 땅은 원래 송나라의 후계국가인 원나라의 영토라고 원나라 황제에게 탄원했다. 1270년(원종 11년) 쿠빌라이 칸은 자비령을 경계를 삼아 그 이북의 영토를 모두 원나라에 편입하고 서경에 동녕부를 설치한 후, 최탄을 동녕부 총관(摠管)에 임명하였다. 이에 고려 원종은 원나라의 수도 대도(大都)로 입조하여 쿠빌라이 칸에게 자비령 이북 지역의 반환을 요구하였으나 관철되지 않았고, 1275년(충렬왕 1년)에는 동녕부를 동녕총관부로 승격시켰다. 그러나 그 후에도 계속된 고려의 끈질긴 요구를 받아들인 원나라는 1290년 쌍성총관부에 대한 영유권을 고려에 돌려주고 동녕부의 치소를 요동(遼東)으로 옮겼다.
4. 공민왕에 의한 대동강 이북 지역의 실지 회복
1) 쌍성총관부
쌍성총관부 탈환은 1356년(공민왕 5년)에 시작되었다. 1356년 음력 4월에서 음력 8월 사이에 추밀원부사였던 유인우(柳仁雨)는 동북병마사가 되어, 공민왕으로부터 쌍성총관부 탈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