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를 검색하다가 ‘왈칵’ 눈물이 치솟았다.
생활고에 시달리던 세 모녀가 마지막 월세와 공과금을 남긴 채 동반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는 안타까운 뉴스를 접했기 때문이다.
지난 26일 오후 9시 20분께 송파구 석촌동의 단독주택 지하 1층에서 60세의 박모씨와 그의 두 딸이 숨진 채 발견됐다. 두 딸은 방 안에 이불을 덮고 누운 채로, 어머니는 거실에 누운 채로 발견됐다고 한다. 송파경찰서는 세 모녀가 살던 집 창문이 청테이프로 밀봉된 상태였고, 현장에서 완전히 탄 번개탄이 발견된 점을 미뤄 세 모녀가 동반자살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들 모녀는 12년 전쯤 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많은 빚으로 인해 생활고에 시달렸으며, 두 딸은 평소 고혈압과 당뇨 등으로 건강이 좋지 않아 어머니 박 씨가 식당일을 하며 생계를 책임져 왔다고 한다. 그러나 어머니마저 한 달 전 다치면서 식당을 그만두게 되자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질병을 앓고 있는 30대인 두 딸은 신용불량 상태였으나 그 어느 곳에서도 도움의 손길을 내밀지 못했다. 그래서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 같다.
특히 세 모녀는 마지막으로 봉투에 현금 70만원을 넣고 '주인아주머니께…죄송합니다. 마지막 집세와 공과금입니다. 정말 죄송합니다'라는 메시지를 남겼다.
그동안 세모녀는 방세와 공과금이 밀린 적은 없었다고 한다. 마지막 까지 다른 사람들에게 신세를 지고 싶지 않은 마음에서 방세와 공과금을 마지막으로 남기고 세상을 떠난 것이다.
그 메시지를 보는 순간 참을 수 없는 눈물이 솟구쳐 오른 것이다. 이 글을 읽는 독자들 역시 같은 감정이었을 것이다.
그 극단적인 선택을 하기 전까지 세 모녀의 삶은 얼마나 고되고 힘들었을까?
그 시간들이 얼마나 암담하고 견디기 힘들었으면 죽음을 선택했을까?
무엇보다도 ‘같인 죽자’하고 결정을 내리고 나서는, 죽음이 찾아오기 전까지 세 모녀가 얼마나 오랜 시간을 끌어안고 눈물을 흘렸을까?
아마도 엄마는 딸들을 생각하고, 딸들은 노모를 생각하며, 그렇게 소리없는 울음을 토해냈을 것이다.
특히 그들의 극단적인 선택은 경제적 어려움 때문이라 그동안 먹고 싶은 것도 제대로 먹을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 70만원을 집주인의 월세와 공과금으로 사용해달라며 남겼다.
신통한 벌이도 없는 처지에서 그 돈을 모으기까지는 얼마나 힘들었을까?
아마 먹고 싶은 것도 제대로 먹지 못하고 살았을 것이다. 그런데도 세 모녀는 그 돈으로 죽기 전에 먹고 싶었던 것을 실컷 사먹는 방법을 선택하지 않았다. 죽으면서도 집주인을 생각했던 것이다.
그 마음이 너무나 애틋해 또 눈물이 흐른다. 그들 세 모녀는 마지막 순간까지도 ‘내가 아닌 타인’을 생각하고 있는데, 우리는 어떤 모습으로 삶을 살아 왔는가.
우리 이웃의 어려움에 조금이라도 관심을 기울여 왔는가.
우선 세 모녀는 가장 기본적인 복지제도인 기초생활보장제도나 의료급여제도 대상에 들지 못했다고 한다. 우리 사회의 안전망이 제대로 가동되고 있지 않고 있는 것이다.
기초생활보장제도는 저소득층에 최저생계비 수준의 소득을 보장해주는 복지제도이고, 의료급여는 기초수급자와 차상위층을 위한 의료보장제도이지만 이들에게 먼 나라 얘기였다고 한다. 만일 이들 세 모녀가 그런 혜택을 받았다면 죽음으로 내몰리는 극단적 상황만큼은 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세 모녀는 장애인, 노인, 한 부모 가정 등 전형적인 취약계층으로도 분류되지 않았던 탓에 관련 복지 혜택을 못 받았고, 이웃과 교류도 거의 없어 어려운 사정이 주변에 알려지지 않았다고 한다. 그들의 사정을 살피고 헤아리는 이웃이 없었다는 말이다.
그런 차원에서 그들의 이웃인 우리의 잘못도 크다.
따라서 세 모녀가 죽음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극단적인 상황에 내몰릴 때까지 사회와 정부가 무엇을 했느냐고 따지기 이전에 내가 그동안 무엇을 했는지 반성하는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제부터라도 우리 주위에 그 세 모녀처럼 곤경에 처한 이웃은 없는지 살피고 돌아보자.
아울러 관계당국은 복지 사각지대를 찾아내는 방법을 어떻게 보완할지 고민하고 대안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부디 그들 세모녀의 안타까운 죽음이 우리로 하여금 주위를 돌아보는 따듯한 사회를 만드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비는 바이다.
<고하승:시민일보 편집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