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직도 우리에게 애물처럼 달려 있는 것은 호남은 영남을 혐오하고 영남은 호남을 혐오하는 악질적인 지역 감정이 아닐까 생각된다. 지역 감정이란 동서고금의 어느 곳에나 있었던 것이라고는 하지만 특히 우리의 경우에는 그 골이 너무 깊어 많은 사람의 가슴에 멍울지게 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은 ‘호남 기피’였다. 이 문제는 사회과학자들의 오랜 쟁점이 되어, 누구는 박정희(朴正熙)의 개발 편중 때문이라고도 하지만, 역사적 배경으로 올라 가면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남긴 훈요십조가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는 사실을 주목하고 있다.
|
흔히 알려진 바와 같이 고려 태조 왕건(王建)은 서기 943년, 눈을 감기 직전 가까운 신하였던 박술희(朴述熙)를 불러 훈요십조를 전하면서 그 8조에서 “내가 죽은 후, 차현(車峴) 이남과 금강(錦江) 아래의 사람들에게 벼슬을 주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전해지고 있다(‘고려사’ 태조 26년 4월 조).
왕건이 남긴 이 유언은 제도적 차별도 정당화했지만, 무엇보다도 사회적 차원에서 호남인들에 대한 편견을 유발했다. 풍토적으로 볼 때 백제의 유산을 받아 이지적이고 학문을 좋아하며 정감적인 호남인들은 이로 인해 깊은 내상(內傷)을 입었다.
그런데 이 배산역수의 논리에는 짚고 넘어 가야 할 몇 가지 의혹이 있다. 여러 문헌으로 미루어 볼 때 왕건이 정말로 훈요를 남겼는지, 그것이 꼭 10조였는지, 그리고 그 8조에 호남 기피의 조항이 들어 있었는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훈요십조가 의심을 받는 논거는 다음과 같다.
|
[고려사]태조편 원본 소실
첫째, 일찍이 ‘고려사’ 태조 편이 편찬되어 있었지만 현종 시대(1010-1011)에 거란군 40만 명이 쳐들어 왔을 때 모두 불타고 없어졌다. 그래서 태조가 죽은 지 80년이 지나서 ‘고려사’를 다시 편찬했다. 이 때 최제안(崔齊安)이라는 인물이 최항(崔沆)의 집에 간직해 두었던 문서를 가지고 와서 왕건의 유서라고 하며 실록에 끼워 넣었다.(‘고려사’ 열전 최승노·제안 조)
최항은 경주 황룡사(黃龍寺)의 중창(重創)을 주장하고 이를 수행한 인물로서 신라의 후예였다. 최제안은 고려 초기의 중신이었던 최승노(崔承老)의 손자이며, 최승노는 경주 출신으로 신라에서 고위 벼슬을 지낸 최은함(崔殷含)의 아들이다. 이미 불타고 없었던 훈요십조가 80년의 세월이 지난 뒤에 복원되었고 이를 주도한 사람들이 신라 구신(舊臣)의 후손이라는 점에서 훈요십조의 진위가 의심스럽다.
그리고 8대 현종 때부터 신라왕족의 모계가 고려왕의 어머니가 되었으며, 신라계가 중앙권력을 장악하게 되었다. 마치 정조사후 신라계인 경주.안동 김씨들이 중앙권력을 장악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김씨족은 감숙성 지역에서 한반도까지 유입된 흉노족이다.
영남지역의 고분에서는 초원의 흉노고분에서나 발견되는 백인종의 유전자들이 분석되고 있는데, 이는 흉노족이 코카서스 백인종과 혼혈족이기 때문이다. 현재는 토착한국민들로 체질화되었으나 이들 흉노신라인들이 한반도에 유입할 때는 지금의 코카서스계 황인종인 위구르족의 얼굴과 유사했다고 할 수 있다.이들 흉노족이 부여황실의 피가가 흐르는 박혁거세의 사로국을 무너 뜨리고 신라를 세운 초원세력이다.
참고로 박근혜대통령의 조상이 되는 박혁거세는 어머니가 부여황실의 공주로 이름이 파소다. 부여공주 파소는 아버지를 모르는 박혁거세를 임신하여 부여법(혼전임신은 사형)에 따라 처벌됨으로 망명을 한 것이다.
박혁거세의 어머니 파소는 부여 동명왕(고두막)의 딸로 추정되고 있으며, 박혁거세의 아버지는 부여 동명왕집단과는 적수였을 해모수 부여집단으로 부여왕이였던 고우루로 추정된다. 부여 동명왕 고두막은 부여를 침략한 한나라를 물리치고 부여민심을 얻어 해모수왕조를 접수하고 부여왕에 오른 부여의 영웅이다. 그 때 해모수 손자로 부여왕이였던 해부루가 동명왕의 제후가 되겠다며 연해주 지역으로 이주하여 가섭원 부여를 세우니 우리 역사에서 동부여라 부르고 있다.
둘째, 왕건이 그러한 유언을 남길 만큼 백제인들을 미워했다는 것이 역사적으로 입증되지 않는다. ‘고려사’를 살펴 볼 때, 왕건이 이 훈요 8조대로 호남인들을 관직에서 배제했다고 볼 수 있는 증거가 없다. 왕건이 (후)백제 세력을 토벌하기 위해 17년이라는 짧지 않은 세월을 보내며 고초를 겪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로 인해 백제를 미워했다는 논리는 성립되지 않는다. 왕건이 견훤(甄萱)과의 원한 관계로 인해 호남을 미워했을 개연성도 있다고는 하지만 실제 정황을 보면 그에게 큰 상처를 준 것은 청주(淸州) 일대의 저항 세력이었지 지금의 호남 세력은 아니었다.
왕건,호남인들을 측근들로 삼고 국정운영
[고려사]는 왕건이 수군을 이끌고 나주를 점령하고 바다와 섬들의 재물로 삼한을 통합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즉, 고려는 호남이 없이는 개국할 수 없는 나라였다는 점은 명백한 역사적 사실이다. 호남인들 중에는 당시 중앙 정부에 입신한 사람들이 많이 있었다. 예컨대 왕건이 평생 사표로 삼았던 도선국사(道詵國師)와 살아서는 상주국(上柱國)이오 죽어서는 태사(太師)가 된 최지몽(崔知夢)은 영암 출신이었고, 왕건의 비(妃)이자 2대 혜종(惠宗)의 모후인 장화왕후(莊和王后) 오(吳)씨는 나주인이었다.
또 왕건과 말년을 함께 산 동산원부인(東山院夫人)과 문성왕후(文成王后)는 승주(昇州) 태생의 순천(順天) 박(朴)씨로 견훤의 외손녀들이었으며, 고려의 창업 과정에 왕건을 대신해 죽은 개국공신 신숭겸(申崇謙)은 곡성(谷城) 사람이었다. 더구나[ 훈요십조]를 받았다는 박술희는 후백제의 당진(唐津) 사람이었는데 호남인을 피하라는 말을 굳이 호남 사람인 그를 불러 전했을 리가 없다.
거란침입 때 현종의 이해할 수 없는 전주 피난
셋째, 고려 왕실이 그토록 호남을 기피했다면 거란의 침입 당시에 현종(顯宗)이 굳이 호남으로 피난했다는 사실이 납득되지 않는다. 즉, ‘고려사’(현종 2년 정월 기해 조)에 의하면 거란의 침입 당시 현종이 전주(全州)에 7일 동안 머물렀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왕건의 [훈요십조]가 사실이고 또 후손에 대한 훈요십조의 영향력이 그토록 강력했다면 왕은 영남이나 강원도로 피난했어야 옳았지 호남으로 피난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현종은 전북에서 백성들이 왕의 길을 막았다고 [고려사]는 기록하고 있다. 이 사건으로 현종의 호남에 대한 반감은 증폭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왜 호남인들은 피난 온 현종을 가로 막고 시위를 벌었을까? 그것은 백제계를 배제외하고 신라계에 권력을 내 주어 거란의 침략을 당했다는 소외감과 분노감이 아니였을까?
넷째, 풍수지리설의 견지에서 볼 때 금강이나 차령산맥이 개경(開京)에 대해 배산역수가 아니라는 점이다. 개경에 대한 배산역수를 굳이 따지자면 오히려 신라의 젖줄이오 생활 터전이었던 낙동강(洛東江)과 태백산맥이 배산역수이다. 호남의 젖줄인 금강과 차령산맥은 경주(慶州·신라)에 대해 배산역수이지 개경에 대해 배산역수라는 것은 기하학적으로도 타당하지 않다. 결국 호남을 배산역수로 본 것은 고려인의 시각이 아니라 신라인의 시각이었다.
금강의 역수론(逆水論)에 대해 이익(李瀷)은 좀더 색다른 주장을 하고 있다. 그의 주장에 의하면, 금강은 반궁수(反弓水), 즉 강의 모습이 마치 개경을 향해 활을 겨냥하고 있는 듯한 형국이기 때문에 흉지(凶地)라는 것이다.(‘성호사설’) 그러나 이것은 옳지 않은 논증이다. 왜냐하면, 개경에 대한 반궁수를 따지자면 턱밑에 있는 한강이 먼저이지 600리나 멀리 떨어진 금강을 거론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훈요십조]의 호남 기피를 합리화한 배산역수론을 가장 구체적으로 적시한 저술은 이중환(李重煥)의 ‘택리지’였다. 그는 8도의 풍물과 인심을 기록하면서 유독 전라도에 대해서만은 악의적이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호남은 반역과 요사(妖邪)와 미신과 재앙의 땅이었다.이중환이 [훈요십조]8항을 배경과 비판없이 그대로 받아들인 반영이라 할 수 있다.
후대학자들 비판없이 수용
그런데 참으로 희한한 일은 이중환이 8도지를 쓰면서 천하를 모두 돌아 보았지만 유독 호남 땅은 밟아보지도 않았다는 점이다. 여행이라면 구경거리 많은 호남을 빼놓을 수 없는 것이며, 설령 여행이 아니라 하더라도 그의 외갓집이 나주(羅州 吳氏)였기 때문에 한번쯤은 가보았음직한데 그는 끝내 호남에 발을 들여놓지도 않고 그런 글을 썼다.
이중환이 호남 땅에 발도 들여놓지 않은 이유는, 그가 병조정랑(兵曹正郞)에 있으면서 목호룡(睦虎龍) 사건(1725)에 연루되어 1년에 네 번씩이나 악형을 당한 후 유배되는데 이것이 광산(光山·광주) 김씨의 고변(告變)에 의한 것이어서 그의 가슴에 평생 한으로 남았기 때문이었다. 그는 그 후 유배에서 풀려나 20여 년을 유리걸식(遊離乞食)한 다음 ‘택리지’를 썼으니, 거기에 담긴 그의 호남 인식이 결코 호의적일 리가 없었다.
요컨대, 한국 현대사의 아린 상처를 남긴 훈요십조의 호남 기피는 오랜 역사성을 가진 집단 따돌림이었다. 그리고 제도적으로 차별화를 암묵적으로 정당화시켜 왔고, 정치적으로 이용당해 왔다. 노무현집단에게 크게 데인 호남은 더 이상 영패정치와 대남적화에 악용하려는 김일성집단에도 악용당하면서 바보,병신취급당하지 말고 주체적으로 당당히 서야 한다.
김일성 생전에 국가보위부(북한 국정원) 비공개 회의에서 "전라는 반정부 강제지역이니 통일에 잘 활용하고 통일이 되면 반은 죽이고 반은 이주시켜야 한다."는 발언내용을 국론분열과 지역차별과 양극화는 대한민국이 망하는 지름길이다!
대통령과 정치권은 반공 자유민주주의라는 국가관에 충실해야 하고 헌법이 규정한 경제민주화 조항에 따라 조세정의와 국민복지를 실현해야 한다.
그리고 국방부는 외침에 철저히 대비해야 하고,국정원은 내부 간첩 척결과 국가정보보호에 힘써야 한다. 국방부와 국정원의 개혁은 다른게 없다. 조직을 공정하게 관리하고 재정을 투명하게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기본적인 본분과 책무에 충실하면 되는 것이다.
선거개입같은 불법행위는 용납못한다!
새누리당과 친노당 할 것 없이 권력만 바뀌면 국정원의 국내파트를 없애자고 요구해 왔다. 노무현정부도 국정원을 정치권력적으로 악용했다.
이제 부패한 정치세력은 물갈이 좀 하고 헌법과 원칙에 충실한 정치세력으로 국회를 물갈이 해 주어야 한다.
97%의 절대적 호남 지지율로 대통령에 당선된 노무현은 취임한 후 광주를 방문하여 자신을 절대적으로 지지해 주었던 호남을 향하여 "호남이 나 좋아서 찍었겠나 이회창 싫어서 찍었겠지"라며 배은망덕한 뒷통수를 치는 발언을 함으로써 호남의 민심이 등을 돌리고 전국적으로 등을 돌려 노무현은 결국 투신자살로 운명을 달리했다. NLL대화록을 포함한 200여개의 국정사료를 폐기하고도 대국민 사과도 없이 무책임한 정치행위를 자행해 온 친노집단은 이제 정치적으로 완전히 매장되었다.
공손하고 겸손한 모습을 보여 주는 안철수도 지난 대선부터 호남에 많은 공을 들였는데 그것이 노무현처럼 권력욕때문이라면 결국 헛된 권력이 될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호남을 정치적으로 이용해 먹고 뒷통수치는 정치인들은 절대로 성공못한다. 왜냐하면 천하의 배은망덕한 호로자식들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