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는 나라의 민족의 보배:안철수와 같은 마인드가진 홍익인간적 인재들로 키우자!안철수같은 마인드를 가진 자들이 한국사회를 리드해야 하고 대통령을 하고 정치를 해야 한다. 안철수 박사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재임기간에 최연소의 나이로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에 임명된 바 있다.
안 박사는 그때를 회상하며 "고(故) 김대통령님과는 제가 30대의 나이로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의 최연소 자문위원으로 임명 받으면서 만나 뵙고 짧게나마 말씀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고 기억을 되짚었다.김 전 대통령을 평가할 때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 중의 하나로 남의 말을 끝까지 들어주는 '경청과 배려'가 있다. 안 박사도 김 전 대통령과 만남에서 이런 경험을 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임명장을 받고 테이블에서 김 전 대통령과 많은 사람들이 대화를 하는 자리가 있었던 것. 당시 안 박사는 김 전대통령이 연배가 많고 IT 분야의 큰 흐름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김 전 대통령이 테이블에서 여러 사람과 대화 도중에 안 박사에게 어떤 질문을 했고 안 박사는 질문에 여러 설명을 이어가면서 긴 시간 답변했던 것으로 그는 기억하고 있었다.
안 박사는 "김 전 대통령은 IT를 잘 알고 계시는 분이셨는데, 처음 만나 뵈었을 때만 하더라도 저는 그런 사실은 까마득하게 모르는 상태였다"며 "질문에 대한 답변을 김 대통령님께서는 아무 말씀 없이 열심히 경청하셨다"고 말했다.
안 박사는 "그런데 나중에야 이미 잘 알고 계신 내용에 대해서 제가 말씀을 드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얼굴이 화끈거릴 정도로 창피하기도 했지만, 이미 알고 계신 내용에 대해서도 아무 말씀 없이 열심히 경청하시던 그 당시 그 모습은 평생 제 기억 속에 남아 있을 것 같다"고 슬픔을 전했다. 안철수 박사는 끝으로 "대한민국의 역사에 커다란 족적을 남기신 고(故) 김대통령님께서 평안하게 영면하시기를 기원한다"고 전했다.
안철수의 홍익인간주의적인 의식과 관련한 인터뷰 내용을 정리해 본다.
"이번 카이스트 사태는 우리나라가 안고 있는 문제의 종속변수다. 여러 가지 사회적·구조적 문제가 카이스트라는 조그만 창을 통해 불거져 나온 것이다. 그 속에 사회구조적 문제가 모두 잠재해 있다. 현상만 보여준 채 넘어가거나, 사람 몇 명을 바꾸고 지나가면 안 된다. 구조적 문제까지 들어가서 카이스트뿐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 대학의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 몇 사람만 바꾼 채 끝나고 또 잊어 버린다면 발전은 없다. 전 국민의 엔터테인먼트인 양 그렇게 지나가면 안 된다. 결정권을 가진 사람들이 하면 할 수 있는 일인데, 생각이 없는 것 같아 안타깝다...우리나라 청년들이 모두 독립적이고 도전 정신이 강한데, 정신이 사회적 구조에 짓눌려 있다. 나를 포함해 사회구조를 만든 사람들의 책임이다. 요즘 젊은이들은 예전과 마찬가지로 호기심이 강하고 도전 정신이 있다. 그러나 사회구조적 문제가 더 큰 힘으로 젊은이들을 안전 지향적 선택을 하도록 몰아넣고 있다. 안타까운 일이다."
"국가의 존재 이유는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면이 강해야 한다. 이것이 '정의'다...결과보다 과정을 더 중시해야 한다. 설령 실패했더라도, 성실하게 도덕적으로 기업을 운영했는데 실패했다면 다시 기회를 주자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진정한 의미의 '최고경영자(CEO) 풀'이 부족하다. 오너들이 투자 결정에 관한 모든 권한을 전문경영인에게 넘겨줘야 한다'삼성동물원'만 말한 게 아니고 'LG동물원' 'SK동물원'도 말했다. 중소기업과의 거래에서 전반적인 착취 문제가 재벌 대기업 중심으로 묶여 있는 현상을 동물원에 빗대 표현한 것이다."
"이제는 '선도자'(First Mover)가 돼야 한다. 아무도 시도하지 않은 분야에서 성공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선 실패를 용인하는 문화가 필요하다.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라 해도 100개 중 하나만 성공하기 마련이다. 실패를 경제·사회적으로 용인하지 않고, 실패하면 당장 처벌하는 문화에서는 아무도 새로운 시도를 하지 않으려 한다. 그러면 선도자가 될 수 없다. 한국 경제가 빠져 있는 딜레마가 이것이다."
"결과보다 과정을 더 중시해야 한다. 설령 실패했더라도, 성실하게 도덕적으로 기업을 운영했는데 실패했다면 다시 기회를 주자는 것이다. 우리나라 대기업을 보면 새로운 프로젝트를 하나 시도했다가 실패하면, 즉각 인사 책임을 물어 해당 임원을 해고하는 일이 많다. 이런 문화에서는 새로운 시도나 선도자가 생겨날 수 없다. 이것이 사회적으로 기업가정신의 쇠퇴를 초래한다. 한 번 실패하면 패가망신하고, 금융사범이 되고, 평생 재기할 수 없는 환경 아래서는 아무도 창업 같은 위험도 높은 시도를 할 수 없다. 우리나라 대기업 구조에서는 고용과 혁신이 일어나기 어렵다. 실패를 용인하지 않는 초단기 목표에만 집착하기 때문이다. 실패를 용인하지 않는 구조가 결국 우리나라 대기업들의 자멸을 가져올 것이다. "
"한국적 상황에서는 사회·경제적 약자 편에 기울어야 하는 게 '정의'다. 한쪽에 너무 치우쳐 있기 때문이다. 로마 시대에 전쟁이 나면 사회 지도층의 전사자가 더 많았다. 사회적 강자일수록 군대 가는 사람이 훨씬 적은 우리 현실은 정의롭지 못하다. 지도층이나 강자일수록 법의 심판을 더 혹독하게 받아야 한다. 불공정거래 같은 불법적 이익 약탈 행위는 기업가정신을 해치고, 사람들을 겁나게 하고 도전 정신을 가로막는 핵심 문제다. 이것만 해결되면 중산층 붕괴 등 많은 문제가 연쇄적으로 풀릴 수 있다."
"한국적 환경에서는 시장에 '심판'이 있어야 한다. 시장에서 규제를 없애는 건 좋다. 대신 감시를 강화해야 한다. 여러 규제를 풀어놓고 기업들이 자유롭게 시장에서 활동할 수 있게 내버려두면 약육강식의 동물원과 정글이 된다. 축구 경기에서 룰이 복잡하면 재미가 없기 때문에 룰을 줄이지만, 최소한의 규칙이 지켜지는지 잘 봐야 한다. 자유시장의 기능에는 찬성하지만 감시를 강화해야 한다."
"융합 시대의 대표적 아이콘이 애플의 아이폰이다. 하드웨어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측면이 서로 융합된 것으로, 아이튠스로 대표되는 마켓플레이스를 보자. 이는 비즈니스 모델로서, 나아가 상생하는 생태계 개념까지 포함된 작품이다. 옛날처럼 한 분야만, 전자공학만 고집하고 거기에 매달리면 이런 융합 제품은 만들어낼 수 없다...이제는 한 사람의 전문가가 처음부터 끝까지 책임지기보다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힘을 합해 한 사람이 할 수 없는 큰 일을 이뤄가는 시대다. 자신의 분야에만 정통해서는 전문가가 되기에 부족하다. 다른 분야에 대한 상식과 포용력까지 있어야 한다. 즉 다른 사람과의 협업이나 팀워크,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필요하다. 나는 'A형 인재상'을 얘기한다. 알파벳 A는 '사람 인'(人)자에 가교가 놓여 있는 모양으로, 사람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나타낸다."
한나라당이 무쟈게 싫으면 한나라당 텃밭 영남부터 한나라당 찍지 말아야 한다. 나라 팔아 먹을 자들이 선거에 출마해도 우리가 남이가로 마구 찍어 준다면 결국 국권까지 강탈될 수 있다. 한나라당 싫으면 한나라당 텃밭 영남부터 한나라당 안 찍기 운동을 벌어야 한다. 그리고 한나라당이 집권해도 대한민국 안 망한다는 유시민같은 자도 빨아 주면 안 된다. 한나라당보다 더 나쁜 자들이 민주세력을 분열시키면서 한나라당 트로이 목마노릇이나 해 온 유시민같은 양아치 정치꾼들이니까! 그리고 이명박하야요구나 한나라당 깨지는 일이 대한민국 정치에서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