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전국 곳곳이 난리다.
이른바 ‘속도전’으로 진행되는 4대강 공사로, 또 여기저기 남발한 뉴타운 사업으로 인해 곳곳이 아우성이다.
정부의 4대강 공사 속도전 속에 14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다.
조금만 여유를 가지고 공사를 했더라면, 잃지 않아도 될 소중한 목숨이 자신의 임기 내 공사를 완공하겠다는 한 사람의 욕심으로 인해 사라져 간 것이다.
하지만 이는 4대강 사업으로 인해 예상되는 피해에 비하면 빙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는다.
우선 정부는 오로지 통수량을 늘려야 한다는 생각에서 천혜의 '수질정화필터' 역할을 하고 있는 모래톱을 마구잡이로 훼손하고 있다.
이로 인한 4대강의 수질악화는 불 보듯 빤하다.
특히 ‘보 건설과 대규모 준설은 지천의 홍수피해로 이어질 것’이라는 4대강 사업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경향신문>은 최근 “본류의 강바닥을 수m 파내자 지천 유속이 빨라지면서 지천 바닥이 파이고 강기슭이 무너져 내리고 있다”며 “이른바 ‘역행침식’(지류의 하류에서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며 침식이 확산되는 현상)이 시작된 것”이라고 보도했다.
실제 낙동강 본류에 대한 대규모 준설로 지천인 병성천의 물살이 빨라지고 제방이 무너지면서 물길까지 변한 사실이 확인됐다.
심지어 일부 구간에서는 1m 높이의 폭포가 생길 정도라고 한다.
그런데 이에 대한 정부의 해명이 가관이다.
국토해양부는 “4대강 본류 준설에 따라 지류와의 하상단차가 발생하는 점을 감안, 하상유지공을 설치함으로써 지류하천의 침식문제에 대비하고 있다”면서 “4대강에 유입되는 국가하천과 지방하천 중 전문가 자문, 기술검토 등을 거쳐 영향을 받는 112개소에 하상유지공을 설치중”이라고 밝혔다.
이게 무슨 말인가.
강바닥을 파내면서 발생하는 하상단차를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덩어리로 강변을 뒤덮겠다는 뜻 아닌가.
지금 한강에서는 콘크리트로 뒤덮인 부분을 걷어대고 다시 자연적인 재료로 대체하고 있는 데 4대강 공사현장에는 오히려 자연을 훼손하면서 콘크리트로 뒤덮고 있으니 참으로 걱정이다.
걱정거리는 또 있다.
바로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시장 재임당시 벌려 놓은 이른바 ‘뉴타운 사업’도 국민들의 속을 태우는 애물단지가 되고 있다.
뉴타운 사업이 뿌리 채 흔들리고 있다는 말이다. 현재 서울에만 무려 26개의 뉴타운지구가 남발됐다.
그 가운데 약 85%는 아예 착공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도 뉴타운지구로 묶여 주민들은 자신의 재산권조차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설사 공사가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원주민들이 그곳에서 살게 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서울의 경우, 뉴타운으로 새집이 만들어 지면 주민들이 추가적으로 최소 1억에서 2~3억 정도를 부담해야 된다고 한다.
하지만 그런 부담을 떠안고 새집에 들어갈 원주민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상당수의 원주민들은 집을 빼앗기고 변두리로 이사를 가거나 심할 경우 경기도 등 수도권 지역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서울시의 뉴타운 사업은 이제 전반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심지어 오세훈 서울시장도 뉴타운을 존치구역에 한해 지정 해제를 검토할 수 있다는 뜻을 밝히고 있는 상황이다.
이 모두가 멀리 바라보는 혜안(慧眼)이 부족한 이명박 대통령의 단견(短見) 때문에 발생한 일들이다.
따라서 이를 지금이라도 바로 잡아야 하는데 뾰족한 수가 없다.
그나마 뉴타운 사업은 지구지정 철회 등으로 주민들의 불편사항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겠지만, 4대강 공사는 정말 대책이 없다.
만일 이런 모습으로 4대강 공사가 완공되면, 완공 당시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지만 지금은 애물단지가 되어버린 ‘제 2의 청계천’ 사태가 재연될 것은 불 보듯 빤하지 않겠는가.
출처:아침햇살